Thank you, Seongjae, for your review. I've checked the parts you commented on so that you can review it quickly. >> It woudl be nice to add changes you made on top of previous versions and links >> to those versions. That can help reviewers. I missed including the link earlier. Here it is: v6: https://lore.kernel.org/lkml/20250822131829.50331-2-ysk@xxxxxxxxxxx/ v5: https://lore.kernel.org/lkml/20240605010811.19445-1-yskelg@xxxxxxxxx/ v4: https://lore.kernel.org/lkml/20240603161530.80789-1-yskelg@xxxxxxxxx/ v3: https://lore.kernel.org/lkml/20240527103003.29318-1-yskelg@xxxxxxxxx/ v2: https://lore.kernel.org/lkml/20240527102313.27966-1-yskelg@xxxxxxxxx/ v1: https://lore.kernel.org/lkml/20240511195942.30857-1-yskelg@xxxxxxxxx/ On 8/24/25 4:35 AM, Yunseong Kim wrote: > Understanding the Linux kernel's CVE handling process is becoming > increasingly critical.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Korean companies > exporting products to regions like Europe, as they must comply with > regulations such as the Cyber Resilience Act (CRA). > > This translation aims to raise awareness among Korean kernel developers and > companies, helping them better understand and adhere to the kernel > community's security practices. > > The translation is based on the contributor's direct experience with the > Linux kernel security bug process and obtaining CVEs. Furthermore, > completion of the security training program provided by the Linux > Foundation ensures the necessary accuracy for this documentation. > > I have refined the context that was present in v6. The review comments from > Seongjae have been incorporated. > > Signed-off-by: Yunseong Kim <ysk@xxxxxxxxxxx> > Reviewed-by: SeongJae Park <sj@xxxxxxxxxx> > --- > 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index.rst | 1 + > .../translations/ko_KR/process/cve.rst | 125 ++++++++++++++++++ > 2 files changed, 126 insertions(+) > create mode 100644 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process/cve.rst > > diff --git a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index.rst b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index.rst > index a20772f9d61c..0bf8f775a215 100644 > --- a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index.rst > +++ b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index.rst > @@ -12,6 +12,7 @@ > :maxdepth: 1 > > process/howto > + process/cve > core-api/wrappers/memory-barriers.rst > > .. raw:: latex > diff --git a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process/cve.rst b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process/cve.rst > new file mode 100644 > index 000000000000..d8d011547877 > --- /dev/null > +++ b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process/cve.rst > @@ -0,0 +1,125 @@ > +.. SPDX-License-Identifier: GPL-2.0 > + > +NOTE: > +This is a version of Documentation/process/cve.rst translated into Korean. > +This document is maintained by Yunseong Kim <ysk@xxxxxxxxxxx>. > +If you find any difference between this document and the original file or > +a problem with the translation, please contact the maintainer of this file. > + > +Please also note that the purpose of this file is to be easier to > +read for non English (read: Korean) speakers and is not intended as > +a fork. So if you have any comments or updates for this file please > +update the original English file first. The English version is > +definitive, and readers should look there if they have any doubt. > + > +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> +이 문서는 > +Documentation/process/cve.rst > +의 한글 번역입니다. > + > +:역자: 김윤성 <ysk@xxxxxxxxxxx> > +:감수: 박진우 <pmnxis@xxxxxxxxx>, 김동현 <austindh.kim@xxxxxxxxx> >> Please take my Reviewed-by tag, only after you remove my name from "감수" >> section. Again, please don't add my Reviewed-by tag without removing my >> name from the above part. Alright, I applied it. :) > +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> + > +================= > +CVE 항목들 (CVEs) > +================= > + > +공통 취약점 및 노출(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, CVE®) 번호는 공개적으로 > +알려진 보안 취약점을 식별, 정의하고 목록화하기 위한 명확한 방법으로 > +개발되었습니다.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커널 프로젝트에서는 그 유용성이 > +감소했으며, CVE 번호가 부적절한 방식과 이유로 할당되는 경우가 매우 많았습니다. > +이 때문에 커널 개발 커뮤니티는 CVE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었습니다. 그러나 > +CVE 및 기타 보안 식별자 할당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과, 커널 커뮤니티 외부의 > +개인 및 회사들의 지속적인 남용이 결합되면서, 커널 커뮤니티가 이러한 할당에 > +대한 통제권을 가져야 한다는 점이 명확해졌습니다. > + > +리눅스 커널 개발팀은 잠재적인 리눅스 커널 보안 이슈에 대해 CVE를 할당할 수 > +있습니다. 이 할당은 :doc:`일반적인 리눅스 커널 보안 버그 보고 > +절차<Documentation/process/security-bugs>`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집니다. > + > +리눅스 커널에 할당된 모든 CVE 목록은 linux-cve 메일링 리스트 아카이브 > +(https://lore.kernel.org/linux-cve-announce/)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> +할당된 CVE에 대한 알림을 받으려면 해당 메일링 리스트를 > +`구독<https://subspace.kernel.org/subscribing.html>`_ 하시기 바랍니다. > + > +할당 절차 (Process) > +=================== >> I think most Korean readers would understand above, but to be more >> Korean-friendly, what about using more Korean-translated term, e.g., "할당 >> 절차"? I chose your suggestion, more smooth to read! > +일반적인 안정(stable) 릴리스 프로세스의 일부로, 잠재적으로 보안 이슈가 될 수 > +있는 커널 변경 사항은 CVE 번호 할당 담당 개발자가 식별하여 자동으로 CVE 번호가 > +할당됩니다. 이러한 할당 내역은 linux-cve-announce 메일링 리스트에 공지사항으로 > +빈번하게 게시됩니다. > + > +참고로, 리눅스 커널이 시스템에서 차지하는 계층의 특성상 거의 모든 버그가 커널 > +보안을 침해하는 데 악용될 수 있지만, 버그가 수정될 당시에는 악용 가능성이 > +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. 이 때문에 CVE 할당 팀은 매우 신중하게 > +접근하며(overly cautious), 식별한 모든 버그 수정(bugfix)에 CVE 번호를 > +할당합니다. 이는 리눅스 커널 팀이 발행하는 CVE의 수가 겉보기에 많아 보이는 > +이유를 설명합니다. > + > +만약 CVE 할당 팀이 놓친 특정 수정 사항에 대해 CVE가 할당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면, > +<cve@xxxxxxxxxx>로 이메일을 보내주십시오. 담당 팀이 협력할 것입니다. > +이 이메일 주소는 이미 릴리스된 커널 트리에 포함된 수정 사항에 대한 CVE 할당 > +전용이며, 잠재적인 보안 이슈를 보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. > +아직 수정되지 않은 보안 이슈를 발견했다고 생각되면 :doc:`일반적인 리눅스 > +커널 보안 버그 보고 절차<Documentation/process/security-bugs>` 를 따르십시오. > + > +리눅스 커널의 수정되지 않은 보안 이슈에 대해서는 CVE가 자동으로 할당되지 > +않습니다. 할당은 수정 사항이 제공되고 안정(stable) 커널 트리에 적용된 후에만 > +자동으로 이루어지며, 원본 수정 사항의 git 커밋 ID로 추적됩니다. 커밋으로 > +이슈가 해결되기 전에 CVE를 할당받고자 하는 경우, 커널 CVE 할당 > +팀(<cve@xxxxxxxxxx>)에 연락하여 예약된 식별자 목록에서 할당받을 수 있습니다. > + > +현재 안정/장기 지원 버전(Stable/LTS) 담당 커널 팀이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> +커널 버전에서 발견된 이슈에 대해서는 CVE가 할당되지 않습니다. 현재 지원되는 > +커널 브랜치 목록은 https://kernel.org/releases.html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> + > +할당된 CVE에 대한 이의 제기 (Disputes) > +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> + > +특정 커널 변경 사항에 할당된 CVE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거나 수정할 권한은 오직 > +영향을 받는 관련 서브시스템의 메인테이너에게만 있습니다. 이 원칙은 취약점 > +보고의 높은 정확성과 책임성을 보장합니다. 서브시스템에 대한 깊은 전문 지식과 > +긴밀한 이해(intimate knowledge)를 가진 개인만이 보고된 취약점의 유효성과 > +범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고 적절한 CVE 지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. 이 지정된 > +권한 밖에서 CVE를 수정하거나 이의를 제기하려는 시도는 혼란, 부정확한 보고, > +그리고 궁극적으로 시스템 침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> + > +무효한 CVE (Invalid CVEs) > +========================= >> What about making it shorter and simlper, e.g., s/유효하지 않은/ 무효한/ ? >> >> No strong opinion. The current one is also good for me. Great, make this simple. :) > +리눅스 배포판이 자체적으로 적용한 변경 사항 때문에 해당 배포판에서만 지원되는 > +리눅스 커널에서 보안 이슈가 발견된 경우, 또는 배포판이 더 이상 kernel.org에서 > +지원하는 않는 커널 버전을 사용하여 보안 이슈가 발견된 경우, 리눅스 커널 CVE > +팀은 CVE를 할당할 수 없으며 해당 리눅스 배포판에 직접 요청해야 합니다. >> Maybe above can be shorter and easier to read, e.g., >> s/지원하는 릴리스가 아닌/지원하지 않는 이유/ ? >> >> Again, no strong opinion. The current one also look good to me. I think "지원하는 않는" better to understand than "지원하는 릴리스 아닌", Thank you for the catching it! > +현재 공식 지원 중인 커널 버전에 대해, 커널 CVE 할당 팀 외 다른 그룹이 지정한 >> I personally feel "적극적으로" is not a good translation of "actively" here, >> but I also have no good better idea. I think this is also good enough. I think it’s better to use a more context-appropriate word rather than the literal translation "Actively" Thank you for your thorough review. > +CVE는 유효한 CVE로 인정되어선 안 됩니다. 커널 CVE 할당 팀(<cve@xxxxxxxxxx>)에 > +알려주시면 CNA(CVE Numbering Authority) 시정(remediation) 절차를 통해 해당 > +항목을 무효화 조치할 것입니다. > + > +특정 CVE의 적용 가능성 (Applicability) > +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> + > +리눅스 커널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, 외부 사용자가 접근하는 방식도 > +다양하거나 아예 접근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. 따라서 특정 CVE의 적용 가능성(해당 > +여부)은 CVE 할당 팀이 아닌 리눅스 사용자가 결정해야 합니다. 특정 CVE의 적용 > +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저희에게 연락하지 마십시오. > + > +또한, 소스 트리는 매우 방대하고 개별 시스템은 소스 트리의 작은 부분 집합만을 > +사용하므로, 리눅스 사용자는 할당된 수많은 CVE가 자신의 시스템과 관련이 없다는 > +점을 인지해야 합니다. > + > +요컨대, 저희는 귀하의 사용 사례(use case)를 알지 못하며 귀하가 커널의 어느 > +부분을 사용하는지 알지 못하므로, 특정 CVE가 귀하의 시스템과 관련이 있는지 > +판단할 방법이 없습니다. > + > +언제나 그렇듯이, 개별적으로 선별된 변경 사항이 아니라, 많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에 >> I think this translation is good enough to just remove "(체리픽된)". I'm >> rather feel like "체리픽된" _might_ confuse some Korean readers. Again, no >> strong opinion but a personal and uncautiosly biased feeling. I think if we change this part to '(체리픽된)' it would mean converting everything into Korean transliterations of English words, which doesn’t seem ideal. > +의해 통합된 전체로서 함께 테스트된 모든 릴리스된 커널 변경 사항을 적용하는 것이 > +가장 좋습니다. 또한 많은 버그의 경우, 전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일 변경 사항이 > +아니라 서로 중첩된 많은 수정 사항의 합으로 발견된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. > +이상적으로는 모든 이슈에 대한 모든 수정 사항에 CVE가 할당되지만, 때때로 저희가 > +수정 사항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CVE가 할당되지 않은 일부 변경 > +사항도 적용하는 것이 관련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하십시오. >> Why don't you add a new line at the end of the file? 🙂 I added it. Again, Thank you Seongjae for the thorough review. Best regards, Yunseong